세계에서 가장 가파른 인구 감소에 직면한 우리나라는 2020년 사상 첫 ‘인구 데드크로스(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은 것)’ 발생으로 생산연령인구의 급격한 감소마저 우려되고 있다. 충남도는 인구소멸 위기 대응과 지역 경제 활성화, 사회통합 촉진 등을 위해 이민청 유치와 진일보한 이민정책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내포뉴스는 이번 호부터 총 8회에 걸쳐 충남도의 이민정책과 이민자 인권 보호, 도내 다문화가정 지원 현황 등을 전한다.
충청남도다문화가족지원거점센터 윤연한 센터장을 만난 건 추석 연휴 전인 지난 12일이었다. 사진=노진호 기자 2022년 11월 1일 인구주택총조사 기준 도내 외국인 주민은 13만 6000명으로 전체 도민의 6.2%에 달한다. 이 중 ‘다문화가족’은 2만 658가구로, 가구원은 6만 1983명이다. 조금 더 자세히 보면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는 1만 9105명, 한국인 배우자는 9087명, 자녀는 1만 7072명, 기타 동거인은 6719명 등으로 나타났다.
충청남도다문화가족지원거점센터(센터장 윤연한)는 2010년 ‘다문화가족 조기 정착을 위한 지원사업 계획’이 확정된 후부터 현재까지 15개 시·군 센터와의 파트너십 등을 통해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
윤연한 센터장은 “1990년대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운동이 본격화됐고, 결혼이주여성이 늘기 시작했다. 이후 2006년부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생겼고,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됐다”며 “초기에는 결혼이주여성 정착 지원이 중심이었지만, 이제 장기 거주자가 많아져 그들의 사회활동을 돕는 게 중요해졌다. 또 자녀들의 나이가 많아지며 낙인과 소외 없이 살아가게 지원하는 것도 주요 역할 중 하나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문화가족뿐 아니라 한부모 등 더 광범위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됐고, 가족센터라는 새 이름으로 바뀌며 그 역할도 달라지고 있다”며 “모두가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잘 어울려 살아가게 돕는다는 건 변함이 없다”고 부연했다.
센터를 찾는 이들의 가장 큰 고민은 ‘자녀 문제’라고 한다. 윤 센터장은 “다문화가족의 부모들은 자녀 정서와 학습 지원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어떤 가정이든 양육이 가장 어려운 숙제인 것 같다”며 “부부 갈등이나 경제적 문제 등이 뒤를 잇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다문화가족 자녀라고 하면 외국인이라고 생각해 한국말을 잘못한다고 여기지만, 그렇지 않다. 한국에서 태어나 부모 중 한 명이 한국인일 때 다문화가족 자녀라고 한다. 이들은 한국어는 잘하지만 조금 다른 여건으로 인해 학습 부진 등의 어려움을 겪기도 하는 것”이라며 “최근 고려인이나 조선족 등 동포가 많이 온다. 이 같은 중도 입국 자녀는 한국어에 대한 어려움이 커 지원 방법도 달라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센터장은 중도 입국 자녀의 경우 통합과 분리 교육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린 나이라면 적응력이 더 빨라 함께 교육하는 게 더 좋다고 본다.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은 한국어 학습을 먼저 한 후 어울리게 하는 게 좋을 것이다. 이는 낙인이 아닌 맞춤형 지원의 차원”이라며 “물론 개인마다 차이는 있다. 또 아산의 일부 학교처럼 외국인 주민 자녀가 절반 이상인 곳은 다른 선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센터장은 충남외국인주민통합지원콜센터와 천안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도 책임지고 있다.
그는 “천안 센터에서는 현재 중도 입국 자녀를 위해 온오프라인 한국어 수업을 5개 반 운영하고 있다. 예산 등 현실적인 어려움은 많지만, 아이들을 위해 필요한 일이라 2014년부터 이어오고 있는 것”이라며 “한국의 역사도 가르친다. 전문가를 초청해 이론과 현장 답사를 병행하는 수업인데 반응이 참 좋다”고 말했다. 이어 “청각장애 다문화가족을 위해 수어통역사와 함께하는 한국어 수업도 진행한다. 전국에서도 보기 드문 사업인데 그만큼 어렵지만, 보람이 큰 것”이라고 더했다.
윤 센터장은 “취업 지원이 가장 어렵다. 다문화가족은 양육 등의 어려움이 더 커 아르바이트 수준의 일밖에 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며 “취업 지원 강화는 숙제다. 정부의 프로그램이 생긴 건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윤 센터장은 “조금 다르더라도 각각의 문화를 존중하며 공존해가야 한다. 서로 단점보다 장점을 봐주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며 “앞으론 외국인 근로자와 유학생 가정도 더 늘어날 것이다. 이들의 자녀까지 품을 준비를 미리 해야 한다. 이는 외국인 지원의 차원이 아니라 함께 잘 살기 위한 숙제”라고 당부했다.
센터를 나오기 전 오예나 팀장을 만났고, 그들의 또 다른 고민을 들을 수 있었다.
오 팀장은 “지난해 5월 내포신도시에 충청남도 가족센터가 생겼고, 이후 내년 1월 1일 자로 거점센터를 그곳으로 이전·통합 운영하겠다는 구두 통보만 받은 상태”라며 “물론 도청과 가까운 곳이지만, 거점센터 운영이 더 효율적일지는 의문이다. 지금 센터가 있는 천안은 도내에서 외국인 주민이나 다문화가족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다. 지역 자원 활용, 관심도, 접근성 등 모든 면에서 더 적합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2년 11월 1일 인구주택총조사 기준 도내 외국인 주민은 13만 6000명이며, 이 중 3만 8456명은 천안에, 3만 6183명은 아산에 살고 있다.
오 팀장은 이어 “아직 어떤 설명도 협의도 없다. 직원들은 혼란스럽고 불안할 수밖에 없다. 사업 방향과 고용 승계 등에 협의가 이른 시일 안에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더했다.
이에 대해 충남도 담당자는 “통합 운영은 지난해 결정된 사항”이라며 “위탁 기간은 올해 연말까지다. 직원들이 원하면 고용 승계는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https://www.naep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557
세계에서 가장 가파른 인구 감소에 직면한 우리나라는 2020년 사상 첫 ‘인구 데드크로스(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은 것)’ 발생으로 생산연령인구의 급격한 감소마저 우려되고 있다. 충남도는 인구소멸 위기 대응과 지역 경제 활성화, 사회통합 촉진 등을 위해 이민청 유치와 진일보한 이민정책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내포뉴스는 이번 호부터 총 8회에 걸쳐 충남도의 이민정책과 이민자 인권 보호, 도내 다문화가정 지원 현황 등을 전한다.
충청남도다문화가족지원거점센터 윤연한 센터장을 만난 건 추석 연휴 전인 지난 12일이었다. 사진=노진호 기자
2022년 11월 1일 인구주택총조사 기준 도내 외국인 주민은 13만 6000명으로 전체 도민의 6.2%에 달한다. 이 중 ‘다문화가족’은 2만 658가구로, 가구원은 6만 1983명이다. 조금 더 자세히 보면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는 1만 9105명, 한국인 배우자는 9087명, 자녀는 1만 7072명, 기타 동거인은 6719명 등으로 나타났다.
충청남도다문화가족지원거점센터(센터장 윤연한)는 2010년 ‘다문화가족 조기 정착을 위한 지원사업 계획’이 확정된 후부터 현재까지 15개 시·군 센터와의 파트너십 등을 통해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
윤연한 센터장은 “1990년대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운동이 본격화됐고, 결혼이주여성이 늘기 시작했다. 이후 2006년부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생겼고,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됐다”며 “초기에는 결혼이주여성 정착 지원이 중심이었지만, 이제 장기 거주자가 많아져 그들의 사회활동을 돕는 게 중요해졌다. 또 자녀들의 나이가 많아지며 낙인과 소외 없이 살아가게 지원하는 것도 주요 역할 중 하나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문화가족뿐 아니라 한부모 등 더 광범위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됐고, 가족센터라는 새 이름으로 바뀌며 그 역할도 달라지고 있다”며 “모두가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잘 어울려 살아가게 돕는다는 건 변함이 없다”고 부연했다.
센터를 찾는 이들의 가장 큰 고민은 ‘자녀 문제’라고 한다. 윤 센터장은 “다문화가족의 부모들은 자녀 정서와 학습 지원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어떤 가정이든 양육이 가장 어려운 숙제인 것 같다”며 “부부 갈등이나 경제적 문제 등이 뒤를 잇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다문화가족 자녀라고 하면 외국인이라고 생각해 한국말을 잘못한다고 여기지만, 그렇지 않다. 한국에서 태어나 부모 중 한 명이 한국인일 때 다문화가족 자녀라고 한다. 이들은 한국어는 잘하지만 조금 다른 여건으로 인해 학습 부진 등의 어려움을 겪기도 하는 것”이라며 “최근 고려인이나 조선족 등 동포가 많이 온다. 이 같은 중도 입국 자녀는 한국어에 대한 어려움이 커 지원 방법도 달라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센터장은 중도 입국 자녀의 경우 통합과 분리 교육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린 나이라면 적응력이 더 빨라 함께 교육하는 게 더 좋다고 본다.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은 한국어 학습을 먼저 한 후 어울리게 하는 게 좋을 것이다. 이는 낙인이 아닌 맞춤형 지원의 차원”이라며 “물론 개인마다 차이는 있다. 또 아산의 일부 학교처럼 외국인 주민 자녀가 절반 이상인 곳은 다른 선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센터장은 충남외국인주민통합지원콜센터와 천안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도 책임지고 있다.
그는 “천안 센터에서는 현재 중도 입국 자녀를 위해 온오프라인 한국어 수업을 5개 반 운영하고 있다. 예산 등 현실적인 어려움은 많지만, 아이들을 위해 필요한 일이라 2014년부터 이어오고 있는 것”이라며 “한국의 역사도 가르친다. 전문가를 초청해 이론과 현장 답사를 병행하는 수업인데 반응이 참 좋다”고 말했다. 이어 “청각장애 다문화가족을 위해 수어통역사와 함께하는 한국어 수업도 진행한다. 전국에서도 보기 드문 사업인데 그만큼 어렵지만, 보람이 큰 것”이라고 더했다.
윤 센터장은 “취업 지원이 가장 어렵다. 다문화가족은 양육 등의 어려움이 더 커 아르바이트 수준의 일밖에 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며 “취업 지원 강화는 숙제다. 정부의 프로그램이 생긴 건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윤 센터장은 “조금 다르더라도 각각의 문화를 존중하며 공존해가야 한다. 서로 단점보다 장점을 봐주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며 “앞으론 외국인 근로자와 유학생 가정도 더 늘어날 것이다. 이들의 자녀까지 품을 준비를 미리 해야 한다. 이는 외국인 지원의 차원이 아니라 함께 잘 살기 위한 숙제”라고 당부했다.
센터를 나오기 전 오예나 팀장을 만났고, 그들의 또 다른 고민을 들을 수 있었다.
오 팀장은 “지난해 5월 내포신도시에 충청남도 가족센터가 생겼고, 이후 내년 1월 1일 자로 거점센터를 그곳으로 이전·통합 운영하겠다는 구두 통보만 받은 상태”라며 “물론 도청과 가까운 곳이지만, 거점센터 운영이 더 효율적일지는 의문이다. 지금 센터가 있는 천안은 도내에서 외국인 주민이나 다문화가족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다. 지역 자원 활용, 관심도, 접근성 등 모든 면에서 더 적합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2년 11월 1일 인구주택총조사 기준 도내 외국인 주민은 13만 6000명이며, 이 중 3만 8456명은 천안에, 3만 6183명은 아산에 살고 있다.
오 팀장은 이어 “아직 어떤 설명도 협의도 없다. 직원들은 혼란스럽고 불안할 수밖에 없다. 사업 방향과 고용 승계 등에 협의가 이른 시일 안에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더했다.
이에 대해 충남도 담당자는 “통합 운영은 지난해 결정된 사항”이라며 “위탁 기간은 올해 연말까지다. 직원들이 원하면 고용 승계는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취재는 2024년 충청남도 지역 미디어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내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내포뉴스(http://www.naeponews.co.kr)